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실리악병(셀리악병) - 글루텐 민감증의 모든 것

건강 관리

by 뉴스원픽 2025. 5. 7. 17:00

본문

반응형

 

실리악병(셀리악병)이란? - 글루텐 민감증의 모든 것

실리악병은 글루텐을 섭취했을 때 면역 시스템이 소장에 손상을 일으키는 자가면역질환입니다.

글루텐은 밀, 보리, 호밀 등에 들어있는 단백질로, 실리악병 환자는 소장에서 이 성분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 염증과 흡수 장애를 겪습니다.

진단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심각한 영양실조, 골다공증, 불임, 장기 손상까지 이어질 수 있어 조기 인식과 관리가 필수입니다.


🥖 실리악병의 주요 원인

  • 유전적 요인 – HLA-DQ2, HLA-DQ8 유전자 변이와 밀접한 관련
  • 환경 요인 – 초기 글루텐 노출 시기, 장내 미생물 불균형 등
  • 자가면역질환 동반 – 1형 당뇨병, 갑상선 질환 등과 함께 발생 확률 증가

가족 중 실리악병 환자가 있다면 발병 위험이 10배 이상 높아집니다.


🧬 실리악병의 증상

실리악병은 증상이 다양하고 개인차가 큽니다. 가장 흔한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속적인 설사 또는 변비
  • 복통, 복부팽만감
  • 만성 피로
  • 체중 감소 또는 성장 지연 (소아)
  • 철결핍성 빈혈
  • 뼈 통증, 골다공증
  • 구강 내 궤양
  • 피부 발진(두르킨스병, Dermatitis Herpetiformis)

성인에서는 소화기 증상 없이 빈혈, 골다공증, 우울증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흔합니다.


🔎 진단 방법

실리악병을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서는 다음 절차가 필요합니다.

  1. 혈액 검사 – tTG-IgA, EMA-IgA 항체 검사
  2. 유전자 검사 – HLA-DQ2, HLA-DQ8 보유 여부 확인
  3. 소장 조직검사(내시경) – 소장 융모 위축 여부 관찰

진단 과정 중 글루텐 섭취를 중단하면 정확한 진단이 어려워지므로 검사 전까지 평소 식습관을 유지해야 합니다.


🥗 실리악병 관리와 치료

실리악병의 유일한 치료법은 ‘글루텐 프리(gluten-free) 식단’을 평생 유지하는 것입니다.

✔️ 허용 식품

  • 쌀, 옥수수, 감자, 퀴노아, 아마란스 등
  • 천연 상태의 고기, 생선, 과일, 채소
  • 글루텐 프리 인증을 받은 가공식품

✔️ 피해야 할 식품

  • 밀, 보리, 호밀이 포함된 모든 음식
  • 빵, 파스타, 맥주, 일부 소스류

숨은 글루텐이 함유된 제품(소스, 튀김옷, 가공식품)을 꼼꼼히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 합병증과 주의사항

글루텐을 계속 섭취하면 다음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영양실조 – 비타민 A, D, E, K 및 철분, 칼슘 결핍
  • 만성 설사로 인한 전해질 불균형
  • 불임, 조산 위험 증가
  • 골다공증, 골절 위험
  • 소장암, 장 림프종 위험 증가

정기적인 소화기내과 추적 검사와 영양 평가가 필요합니다.


📝 실리악병과 혼동하기 쉬운 질환

  • 글루텐 민감증(Non-Celiac Gluten Sensitivity) – 항체 음성, 장 손상 없음
  • 과민성 대장증후군(IBS)
  • 밀 알레르기

혼동을 피하려면 정확한 검사와 의사 상담이 필수입니다.


결론

실리악병은 단순한 소화기 질환이 아니라 전신에 영향을 미치는 자가면역질환입니다. 조기에 정확한 진단을 받고 철저한 글루텐 프리 식단을 실천하는 것이 유일한 치료법입니다. 지속적인 관리로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으니, 증상이 의심된다면 즉시 검사를 고려해보세요.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